하루 10킬로 걷기 만 2년5개월. 배우 하모씨도 15000보를 걷는다고 하던데 14킬로 정도 걷나보다. 걷는건 생각을 맑게하고 마음을 정리하며 에너지도 절약하며 따라서 자연에도 이로우며 내 건강에도 좋고 밥맛도 좋아진다. 무엇보다 생활의 루틴이 생긴다. 이건 나같은 직업의 사람에게 중요한 일이다.
이 'cj 꿈키움' 광고가 국무총리 상을 받았다고 한다. 이런저런 잦은 수정에 고민이 많았었다. 공들여 만들었다가 통 편집 되어 버리게 된 곡도 두 곡이었다. 그래도 덕분이라며 덕담을 건넨 감독님 한 마디에 그냥 다 괜찮아졌다. 이 영상은 ‘수정 전’ 버전 인데 유투브에 있네. 수정 후 버전이 이 회사 홍보용으로 내년부터 쓰인다고 한다. 12월 7일 수정 후 버전이 새로 올라와서 바꿈.
얼마전 끝낸 광고가 무슨 광고 페스티벌 본선에 올랐다고 한다. 수 차례 수정을 해야했던 좀 피곤한 기억이었는데 내일 좋은 결과 있길 바란다. Courtesy to the nation. / 1991,봄 어제 부터 이 영화 OST를 내려고 믹싱을 새로 하고 있다. 영화에 삽입되었던 출연자의 연주곡과 내가 새로 편곡했던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는 없다. 그저 내 오리저널 스코어로만 만큼 내 나름의 의미가 있다. 충분하지 그럼.
학교가는 출근 스쿨버스를 탔다. 새벽 5:10 기상 스쿠터를 달려 내 스튜디오에 바이클 세우고 교대역 근처 스쿨버스 정류장으로 오면 6:20. 늘 앉던 맨 앞자리. 갑자기 저번 수업때 학생들과 보았던 ‘만추’ 버스 장면이 생각나네. 아마 그들도 피곤했을거란 .. 피곤해서 둘이 그렇게 되었을거다. 시작도 끝도 살아내는건 참 피곤한 일.
몰라서 몰랐던게 후에 좀 알게되서 조금이나마 눈을 뜬거 같아서 이젠 안다고, 아는 것 같아 확실하다 여겼던 것이 오히려 조금 시간 더 지나니 그렇기에 더 모르겠는 그 거. 그럼 난 아는게 아니었나? 아니면 알 필요도 없는 그냥 예측같은 범주에 확률 낮은 것에 의미를 뒀던 걸까? 세상에서 제일 모르겠는건 나고 내 마음이다. 이 기분 두산이 져서 그런가 ...
내 강의실은 거의 대부분 학교 스튜디오다. 그게 편하기도 지겹기도 하다. 그런 스튜디오 공간이 익숙해서 편하고 익숙해서 지겹지... 달라지는건 학기별 학생들뿐. 난 그저 학생들만 보고 수업을 한다. 이번 학기 학생들 녀석들 맘에 든다. 얘네들 딱히 뭐 없는데 그저 잘 해보려는 적극성이 내게 전해졌지 싶다.
뉴스를 읽다가 다 못읽고 끄고 다시 더 읽고 끄고 .. 아이는 그저 엄마랑 놀러왔다고 생각했을텐데. 아이는 그냥 두지 ... 얼마나 힘들었으면 저렇게 까지 .. 그래도 아이는 .. 생각이 자꾸 변해서 잘 모르겠고 이해가 가면서 이해 할 수 없고 그래서 그냥 아픈 마음만 남는다.